URI란?
- Uniform: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
- Resource: 자원,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(제한 없음)
- Identifier: 항목을 구분하는 정보
많이들 헷갈리는 부분이 URL, URN, URI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이름을 보면 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데
URL: Uniform Resource Locator
URN: Uniform Resource Name
각각은 자원(Resource)에 접근하는 방식이 자원의 위치, 이름입니다.
URI는 둘 모두를 아우르는 Identifier를 통해 자원을 탐색합니다.
하지만 URN은 실제로 활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
따라서 사람들이 말하는 URI와 URL은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!
※참고: https://www.ietf.org/rfc/rfc3986.txt
URL Scheme
아래 예시는 구글에서 빈지노를 검색했을 때 URL입니다.
https://www.google.com/search?q=빈지노&oq=빈지노&aqs=chrome..69i57.649j0j15&sourceid=chrome&ie=UTF-8
위 URL을 scheme 각 부분별로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scheme://[userinfo@]host[:port][/path][?query][#fragment]
- scheme: https(port가 443으로 고정이기 때문에 :port는 실제 표시되는 URL에서는 생략됩니다)
- userinfo@: 사용자 정보를 포함해서 인증할 때 사용.(거의 사용하지 않음)
- host: www.google.com (도메인 네임 or IP address)
- port: :443 (http: 80, https: 443)
- path: /search (Resource의 경로, Hierarchical 구조)
- query: ?q=빈지노&oq=빈지노&aqs=chrome..69i57.649j0j15&sourceid=chrome&ie=UTF-8
(?로 시작하며 &로 조건을 추가할 수 있음, query parameter 또는 query string이라고 불림) - fragment: html 내부 북마크 등에 사용 (서버에 전송되는 정보는 아님)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상태코드 3XX (0) | 2021.12.19 |
---|---|
HTTP 메소드 (0) | 2021.11.17 |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(0) | 2021.11.15 |
TCP와 UDP (0) | 2021.10.03 |
IP(Internet Protocol) (0) | 2021.09.26 |
댓글